채무조정 사례관리 교육을 받고와서..
페이지 정보
작성자 서울모자의집 작성일23-10-19 15:52 조회369회 댓글0건본문
어제였다.
온라인으로 보수교육을 들었다.
'채무조정 사례관리'였다.
우리 원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로는
자립지원프로그램이 있다.
올해 직원의 업무 조정 과정에서
자립지원을 생활지원과 분리해서 볼 수 없다라는
판단하에
행정지원과 담당 업무로 이관된 것이다.
다양한 어려움 중에
경제적인 어려움을 빼놓을 수 없다.
돈 관리(소비습관)의 어려움,
또는 채무에 대한 문제가 존재한다.
채무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어머니와 함께
금융복지상담센터를 동행했던 일이 있다.
동행하면서
담당자로서 지식이 부족했음을 절실히 느꼈다.
이번 교육을 통해
①채무조정과 관련된 개념들과 업무의 프로세스를 정립한다.
이에 따라 각 대상에 맞는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.
그러려면 ②사례관리가 정상화되어야 한다.
또한, ③사례관리 속에서 윤리와 인권도 놓쳐서는 안된다.
인권과 사례관리 교육 속에서 기억에 남는 것이 있다.
첫째, 익숙해지지 않을 것
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내 업무를 점검하는 것
둘째, 고정관념과 편견에서 벗어날 것
심판적인 태도로 대상자를 바라보지 않을 것
셋째, 권위를 갖출 것
보통은 권위하면 갑질이라고 잘못 해석하여 보기도 한다.
하지만 권위의 뜻은 그렇지 않다.
어느 개인, 조직, 관념이 사회 속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
그 사회의 성원들에게 널리 인정되는 영향력을 지닐 경우
이 영향력을 권위라고 한다.
사회복지사로서 권위가 있어야 한다.
그러기 위해선 내 업무를 정확히 알고
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점검과 공부가 필요하다.
나는 그 정도의 노력을 하는가? 물었을 때
그렇다고 대답할 수 없었다는 것에 반성했다.
넷째, 사례관리를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
①운영체계를 확립(이는 곧 관점의 일치를 말한다).
②클라이언트와 함께 강점관점의 체계적인 사정.
③클라이언트의 내적 자원 및 지역사회 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
이를 위해선 한 사람을 정확하게 보는 것이 필요하다.
우리는 과연 그러고 있는가를 생각해본다.
나의 생각대로 그들을 이해하고 있지는 않는가
나에게 질문해 본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